해충 예찰 ‘무인 자동화’ 시대 연다
해충 예찰 ‘무인 자동화’ 시대 연다
  • 윤희진 기자
  • 승인 2021.07.23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동 해충 예찰 포획장치 개발…트랩 자동 교체, 해충 촬영 전송
1회 설치로 최대 9개월간 자동 예찰 가능…인력·시간·비용 절감 기대
해충자동예찰장치 ‘오토롤트랩’개발

최근 온난화로 병해충 발생이 늘어나면서 피해 예방을 위한 예찰이 더욱 중요해진 가운데 해충 예찰에 들어가는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제주대, 산업체와 공동으로 농업 현장에서 문제가 되는 해충을 별도의 인력 투입 없이 장기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자동 해충 예찰 포획장치(오토롤트랩)’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는 2000년 이전까지 약 50여 종의 병해충이 외국으로부터 유입됐다. 2000년대에는 미국선녀벌레, 갈색매미충 등의 해충이 들어왔다. 이에 해충 발생량과 시기를 감시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예찰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사람이 직접 주기적으로 현장에서 트랩(포획장치)을 교체하는 현재의 예찰 방법은 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해충 발생 즉시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원격 예찰장치가 연구․상품화되고 있지만, 이 또한 특정 해충만 예찰할 수 있고 트랩 교체나 청소를 위해서는 자주 현장을 방문해야만 한다.

오토트랩
오토트랩

이번에 개발한 ‘오토롤트랩’은 로봇 트랩으로, 기기 스스로 트랩을 교체해 주기적으로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 예찰이 가능하다.

오토롤트랩에 장착하는 롤형 점착트랩은 동그랗게 말린 형태로 끈끈한 면(점착면)을 바깥에 노출해 해충을 포획한다. 점착면은 사용자가 정한 시간에 회수되고 깨끗한 점착면으로 자동 교체된다. 장치에는 40회 분의 롤형 점착트랩을 내장할 수 있어 주 1회 조사한다면 280일, 약 9개월간 교체 작업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내부에 달린 고해상도 카메라는 점착면이 회수되는 순간 잡힌 해충의 사진을 수집한다. 크기가 1.5~2mm 수준인 총채벌레와 진딧물, 5mm~4cm에 이르는 나방류까지 대부분 해충의 또렷한 사진을 확보할 수 있다.

오토롤트랩 내부 카메라에 찍힌 사진은 자체 기억장치(메모리)에 저장되고 엘티이(LTE) 통신으로 서버로 전송된다. 사용자는 휴대전화와 피시(PC)로 해당 장치의 특정일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장치는 사용 환경과 목적에 따라 크기가 작은 해충용 트랩, 페로몬 같은 유인제를 이용하는 트랩, 빛을 이용하는 트랩 등으로 형태 변환이 가능해 다양한 농업 해충을 예찰할 수 있다.

연구진이 올해 4~6월 제주도 3개 지역에서 오토롤트랩의 원격 예찰 성능을 분석한 결과, 사방이 열린 구조인 오토롤트랩은 기존 트랩보다 유인력은 2배 더 높았고, 3일마다 사진을 수집함으로써 기존 트랩(7일 간격 현장 방문)보다 정밀 예찰이 가능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기술과 관련해 5건의 특허를 출원했고, 이 중 4건이 등록됐다.

오토롤트랩을 활용한다면, 연구자나 농가가 현장에 자주 방문하지 않아도 돼 기존 페로몬트랩을 이용해 주 1회 조사하는 것보다 10년 사용 시 1년에 86만 5000원을 절감, 해충 예찰에 드는 비용을 연간 60%가량 아낄 것으로 예상한다. 대량 생산한다면 기기 비용은 이보다 더 줄 것으로 기대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김동환 소장은 “미래에는 병해충 부분에서 농업인의 애로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충 예찰을 자동화하고 방제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오토롤트랩 개발은 해충 예찰의 무인 자동화, 그 첫 단추를 끼웠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며

“기존에 접근이 쉽지 않은 섬이나 오지에서도 해충을 무인 원격 예찰할 수 있어 디지털 농업 농가는 물론, 광역 해충 감시망 등에도 활용이 기대된다.”라고 전했다.

토마토 재배지에 오토롤트랩을 적용 중인 신용균 씨(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는 “농사를 지으며 해충을 예찰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이 장치는 스스로 트랩을 교체하는 것은 물론, 맨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 해충 사진까지 확대해 볼 수 있어 방제 계획을 세우는 데 유용하다.”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무인 자동화‘오토롤트랩’(자동해충예찰장치) 개발

 

개발 개요

 

 

 

목적 : 장기간 무인상태로 다양한 해충을 맞춤형 예찰가능한 장치 개발

❍ 트랩 교체 기간 : (현재) 1  (개발) 280(9개월)

❍ 해충 맞춤형 예찰형태 : 미소곤충형, 페로몬트랩형, 유아등형

 

◇ 해충자동예찰장치 ‘오토롤트랩’개발

❍ 장치 구성

- 본체 : 자동트랩교체장치, 컨트롤패널(제어, 통신 등), 12V 작동

- 전력공급 : 태양광전지 또는 외부전력공급

- 롤형 점착트랩 : 30×1,300cm (40회 분량), 교체소모품

❍ 장치 기능

- 트랩교체 : 설정 기간에 맞춰 롤형 점착트랩 일정 간격 회수

- 포획 정보수집 : 트랩 회수 시 일정 간격 근접 촬영

- 통신 : LTE로 서버 송신과 블루투스로 사용자 직접 송수신

- 외형 : 해충 예찰 목적에 맞게 미소곤충형 등 3가지 활용형

❍ 산업재산권

- 특허 5건(해충 맞춤형 롤트랩장치), 디자인 2건, 상표 1건

◇ 해충자동예찰장치 구성

❍ 롤트랩(롤형 점착트랩)

해충을 포획하는 롤형점착트랩으로 오토롤트랩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소모품임. 오토롤트랩에 맞는 전용 롤트랩을 자체 제작

❍ 오토롤트랩 본체

오토롤트랩의 핵심부는 롤트랩 자동교체장치, 이미지를 수집·저장하고, 통신하며, 자동교체 등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 태양광패널 등 전력공급부로 구성

롤트랩 자동교체장치 : 새 롤트랩은 우측에 장착하고, 롤트랩이 풀리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해충 포획면과 이미지 수집부를 지나고 나서 중앙의 회수부에서 다시 롤이 감긴다.

이미지 수집방법 : 컨트롤내부 안쪽에 2개의 카메라가 있고, 롤트랩을 일정 간격으로 회수하면서 이미지를 수집한다.

.컨트롤패널 : 사용자 설정에 맞춰 롤트랩을 회수하고, 카메라를 작동시켜 이미지를 수집·저장하고 데이터 통신으로 서버 전달

.전력공급부 : 태양광 패널 또는 외부전력을 이용 배터리를 충전


.제품제원

❍ 오토롤트랩 활용형태

  - 미소곤충형 : 해충 포획면을 작물을 향하게 위치하는 형태

  - 유아등형 : 유아등 모듈을 미소곤충형에서 부착시킨 형태

  - 페로몬 트랩형 : 태양광 패널 밑의 유인제 부착부를 해충포획면 정중앙위로 위치시킨 형태

◇ 수집이미지

❍ LTE 통신으로 수집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하고 PC나 모바일이용 인터넷을 접속하여 서버에서 전송된 이미지 목록을 통해 확인

- 수신이미지 목록(서버) : 장비별 상태, 이미지 생성 시간 등 확인

❍ 수신 이미지 해상력 테스트

 - 풀잎, 꽃 등과 5mm 미만의 미소곤충이 섞여 있을 때, 진딧물, 애꽃노린재 등 미소곤충도 충분히 구분 가능하였음

장치 수신 이미지(2020.7.1.)> * 수신이미지는 실제 크기와 동일
장치 수신 이미지 부분 확대(약 10배)
장치 수신 이미지 부분 확대(약 10배)
장치 수신 이미지 부분 확대(약 10배)
장치 수신 이미지 부분 확대(약 10배)

 

 
 
◇ 오토롤트랩 활용 호박꽃과실파리 현장 예찰 결과

20214월부터 614일까지 제주도 3개 지역에서 ‘오토롤트랩’ 원격 예찰 성능과 기존 트랩과의 유인력 비교

* 기존 트랩(델타트랩, 7일 간격 현장방문 조사), 오토롤트랩(3일 간격 수집이미지 원격전송)
❍ 수행 결과
- ‘오토롤트랩’이 기존 트랩보다 총 포획량이 2배가량 높음

위치 및 장소

총 포획수(4.8~6.14)

유인율

(B/A×100, %)

델타트랩(A)

오토롤트랩(B)

제주도도농업기술원(강정)

345

1022

296

서귀포농업기술센터(하례)

25

60

240

서부농업기술센터(월림)

65

94

145

145

392

22-

-‘오토롤트랩’이 기존 트랩 조사보다 짧은 주기로 예찰할 수 있어 해충 발생이 더 정밀하게 예찰 가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e7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2pixel, 세로 25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e7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2pixel, 세로 249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e7c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2pixel, 세로 249pixel

 

- ‘오토롤트랩’ 수집이미지로 해충 포획수와 동정(확인) 가능하였음

<원본이미지(6.13., 제주도도농업기술원(강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_강정_2021061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99pixel, 세로 6210pixel

 

<대상 확대 이미지(실물 약 45배 크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e7c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8pixel, 세로 37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e7c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9pixel, 세로 44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e7c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2pixel, 세로 387pixel

 

 

 

 
 

 

◇ 오토롤트랩과 기존 트랩 비교

기존 트랩- 미소곤충용인 평판점착트랩, 나방류와 노린재류 유인을 위한 페로몬을 사용하는 페로몬 트랩, 빛을 이용하여 곤충을 유인하는 유아등 등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트랩이 해충 예찰에 활용되고 있음
 

- 단점 : 현장조사와 주기적인 트랩 교체 등 관리 필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ac38e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0pixel, 세로 28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a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5pixel, 세로 35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a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1pixel, 세로 363pixel

평판트랩

끈끈이 롤트랩

페로몬트랩(델타트랩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a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7pixel, 세로 29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a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9pixel, 세로 19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ac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4pixel, 세로 255pixel

페로몬트랩(펀넬형)

유인제트랩(멕페일트랩)

유아등 트랩

 

원격예찰용 트랩(개발 중 또는 상용제품)
- 전 세계적으로 해충 예찰을 자동화하기 위해 페로몬 트랩을 기반으로 원격예찰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음. 즉 특정해충을 유인하여 수집한 이미지를 서버로 통신하는 방식으로 여기에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상 종을 구분하고 마리수를 카운팅하는 방식이 주로 활용되고 있고, 광센서, 전기충격 방식으로 카운팅하는 방식도 있음. 해외 회사나 대학은 수집 정보를 이용 자동으로 해충 경보와 방제의사결정까지 지원하는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였음
* 국내 : 페로몬 트랩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원격으로 이미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개발되었고, 인공지능기술을 접목하여 페로몬 트랩에 포획된 해충을 구분하여 카운팅하기도 함
- 지금까지 개발된 장치 중 스스로 트랩을 교체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T제품이 가장 자동화된 예찰장치이고, 그 외 제품들은 현장을 방문하여 주기적으로 트랩을 관리해야 됨
- 단점 : 페로몬 트랩형에 국한되어 있어 특정 해충만 예찰 가능하고, 주기적인 트랩 교체 등 관리가 필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ac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7pixel, 세로 34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3ac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2pixel, 세로 275pixel

 

(Trapview)

(미국 대학)

 
오트롤트랩과 타 트랩 비교
- 오토롤트랩이 타트랩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우위. 단 가격은 현재 수제작으로 인하여 단가가 높은 편(양산될 경우 100만원대)

항목

오토롤트랩

기존트랩

타 원격예찰트랩

현장 조사

불필요

필요

불필요

주기적인 트랩 교체

불필요

필요

대부분 필요

미소곤충 예찰

가능

가능(점착트랩)

-

유인제로 유인되는 해충 예찰

가능

가능(페로몬트랩)

가능

빛에 유인되는 해충 예찰

가능

가능(유아등트랩)

-

태풍 등 기상 악조건에서 사용성

안전

분실가능성 높음

일부 제품만 안전

가격

고가

저가

~고가

 

 
 
◇ 오토롤트랩 경제성(추정)

요약

- (방법) 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주 1회 조사하는 관행과 오토롤트랩을 이용 자동예찰 비용 비교
- (결과) 장기적으로 오토롤트랩을 이용한 예찰이 관행 조사 방법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 : 865천원/(절감율 61.8%)
위험요인 : 초기 설치 및 운용 비용
- 롤트랩 자동예찰장치 : 500만원/개 
무선통신 데이터 이용 비용 : 8,700월~16,000(무제한 용량)

롤트랩자동예찰장치를 통한 예찰 조사 비용 절감 : 865천원 절감

- 이익적 요소(관행대비 비용절감) : 1,400천원

▪교통비, 일비 절감 : 1,400천원/농가 (38, 1회 조사 시)

- 손실적 요소

▪감가상각비 : 500천원

▪재료비(롤트랩) : 35천원

농가소득 증대 등 투입효과

관행

오토롤트랩

증가율

비용절감율

1,400천원

535천원

61.8%

※ 조건 : 3~10월까지 7일 조사(35), 조사/교체 인건비 40,000/

- 35회×40,000/=1,400천원

 

 

◇ 국내 발생하는 주요 해충 종류와 발생 추이 추가

외래 병해충 유입 상황

2000년대 이전까지 병 22, 해충 30종의 외래병해충이 국내에 발생하여 피해를 준 기록이 있고, 2000년대에는 꽃매미, 갈색날개노린재, 미국선녀벌레가 새롭게 발생하여 급속도로 분포가 확장되고 있으며, 2010년대에는 화상병 지속 확산하고 있는 추세임. 2020년 전후로 열대거세미나방, 붉은불개미가 침입하여 농업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황임.

○ 외래 병 발생 기록 : 22

기주병 / 종명

발생(추정)연도

(공식 발견 시기)

유입경로

피해 (조사 당시)

감자 더뎅이병

1910(1913)

일본, 씨감자

- 제주, 전남 무안 등 100%

- 평균 14.3%

복숭아 탄저병

? (1914)

?

-< 2%

목화 탄저병

1910(1914)

미국, 목화종자

-5~30%

사과 화상병

1914 (1914)

일본, 사과묘목

-1928년 이후 발생 보고 없음

사과 근두암종병

1910 (1915)

일본, 사과묘목

-사과보다 포도, 장미에 큰 피해

포도 노균병

1910 (1915)

일본, 포도

-1970년 유럽종에 큰 피해,

* 캠벨얼리는 이병에 저항성 품종임

감자 역병

1910(1918)

일본

-감자 10~20% 발병

-토마토

벼 흰잎마름병

1920(1930)

일본, 볍씨

-다수계 품종에서 피해

-품종 대체 등 적용 이후 상습지나 기상이변시에만 발생

감귤 궤양병

1930(1935)

일본, 감귤묘목

-1~2%

고구마 검은무늬병

1940(1942)

일본, 씨고구마

-< 2%

감자 둘레썩음병

1962 (1964)

일본, 종서품종

- 196576.9% ->19670.6% 이후 대개 0.1~0.6%

감자 탄저병

1960(1970)

일본, 씨감자

제주도, 강릉지역에서 약간

사과 검은별무늬병

1972 (1972)

미국, 사과묘목

-대규모 박멸작업 실시함

- 1990년대에는 돌발발생함

벼 검은줄오갈병

1960 (1973)

일본, 볍씨

- :1984년 전국 대발생

-옥수수에도 큰 피해

벼 세균성벼알마름병

1986 (1986)

일본, 볍씨

-피해량 조사 안 됨

토마토 궤양병

1960년대 (1975)

일본, 토마토종자

-수입 종자 사용농가에서 주로 발생

감자 꺌쭉병

1975 (1977)

미국, 감자

-박멸 후 발생 기록 없음

호프 위축병

1970(1975)

일본, 호프묘

-이후 발생 보고 없음

호접란 잎썩음병

1980(1991)

태국, 파래노프시스묘

-1~27%

카네이션 점무늬병

1990(1993)

네델란드/스페인, 카네이션묘

-심하게 발생함

박과 검은점뿌리썩음병

? (1993)

?

-2~90%

토마토 시들음병

1980(1994)

일본, 종자

-약간 발생

 

○ 외래 해충 발생 기록 : 30

종명

발생(추정)연도

(공식 발견 시기)

유입경로

피해

화살깍지벌레

1920 (1930)

일본, 감귤묘목

-방제하지 않는 농가에서만 발생

이세리아깍지벌레

1930 (1930)

일본, 감귤묘목

-제주도에서만 발생

잠두콩바구미

1926년 이후 (?)

일본, 잠주종자

-?

줄알락명나방

1920( ?)

일본 등, 식품

-저장곡물에 피해

흰개미

? ( ?)

일본, 이삿짐

-목조건물에 큰 피해

루비깍지벌레

1930(?)

일본, 감귤 묘목

-루비붉은깡총좀벌 천적 도입후 발생 미미

애집개미

1930(1940)

일본, 이삿짐

-가옥내 정착 발생

뿌리응애

? (1963)

일본, 구근류

-인경채소, 그근화훼류 피해 심

사과면충

1900(1913)

일본, 사과묘목

-관행농가 발생 거의 없음

포도뿌리혹벌레

1910(1912)

일본, 포도묘목

-거봉에 큰 피해

완두콩바구미

1920(1965)

미국,일본, 완두

-완두 주요 해충임

솔잎혹파리

1920(1929)

일본, 바람

-연간 20ha 피해

미국 흰불나방

? (1958)

미군, 외국인주둔지

-연간 3~4ha

밤나무순혹벌

? (1958)

 

- 외래종이 아닐 가능성이 있음

감자뿔나방

1963 (1968)

일본, 감자종서

-남부지역과 제주도 감자 피해 심함

가루개나무좀

? (1975)

미국 등 원조곡물

-저장곡물에 간혹 발생

온실가루이

1970 (1977)

일본 등 묘목

-채소, 화웨 등 작물 주요 해충

딸기가루이

? (1978)

?

-딸기재배지에서 발생만 확인, 피해없음

바나나바구미

1980(1988)

일본, 바나나 성묘

-바나나 재배변적 6.4% 피해

벼물바구미

? (1988)

항구지역,

-95년 전국 발생

소나무재선충

1980 (1988)

일본, 동류

-감염시 100% 사망

-현재에도 가장 큰 문제임

채소바구미

? (1975)

일본, 여행객

- 남부지역 십자화과 작물에 피해

글라디올러스총채벌레

1988 (1990)

네델란드, 글라디올라스 구근

-현재 발생 거의 없음

꽃노랑총채벌레

1988(1993)

네델란드, 거베라묘

-현재 주요 해충

오이총채벌레

1987 (1993)

일본, 국화

-현재 시설 재배작물 해충

아메리카잎굴파리

1988(1994)

네델란드, 거베라묘

-현재 시설 재배작물 해충

알팔파바구미

? (1994)

미국, 소 수입

-제주도에만 분포

버듬나무방패벌레

? (1995)

미국, 이사화물

-버즘나무 피해

담배가루이

1995 (1998)

이스라엘, 장비삽수

-현재 주요 해충

갈색거세미나방

(뒷흰날개밤나방)

1993(1997)

중국, 기압골

-발생 적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