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무역액 역대 최단기간 1조 달러 돌파
연간 무역액 역대 최단기간 1조 달러 돌파
  • 임광안 기자
  • 승인 2018.11.16 16: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대 최대 연간 무역액(1.1조 달러 이상) 달성

주요국 수입시장 내 한국 점유율 FTA 발효 이후 대체로

산업통상자원부․관세청은 2018년 11월 16일 13시 24분 기준으로 잠정 집계한 결과 연간 누계 무역액이 1조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금번 실적은 무역통계 작성(‘56년~) 이래 역대 최단기간 무역액 1조 달러를 돌파한 것이다.

이로써 한국은 ‘15∼’16년 무역 1조 달러 클럽을 이탈한 이후, ‘17년부터 2년 연속 무역 1조불 클럽 재진입에 성공했다.

한편, 지난 달 역대 최단기간(최초 10월 중) 수출 5,000억 달러 돌파(10.29일) 이후, 무역액도 최단기간 1조 달러를 달성하는 등 호조세 지속으로 올해 역대 최대 무역액(1.1조 달러 이상) 경신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역대 무역 1조 달러 달성 현황

금년도 한국 무역은 미․중 무역갈등,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 주요국 제조업 경기 호조세, 국제 유가 상승 등 긍정 요인과 더불어, 수출품목 고부가가치화 및 다변화, 신흥시장 수출 확대 등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선전하고 있다. 1∼10월 수출액 : 5,053억 달러(+6.4%)로 사상 최대 실적 기록하였으며 금년도 사상 최초 6개월 연속 및 연간 7번째 500억 달러 이상 수출을 달성했다.

구체적으로, 기업들의 적극적인 수출품목 고부가가치화 노력,  무역보험 확대를 통한 신산업․유망 소비재 등 수출품목 다변화, 지역별 편중 없는 수출 성장유도 등 다방면의 교역 진작노력에 따라 양적 측면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진전된 성과를 보였다.

특히, 유망 소비재 지원대상을 중소․중견에서 全 수출기업으로 넓히고, 전략적 수출 공략 신흥시장(인도․인니․러시아․브라질․말련․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등 무역보험 지원 확대가 수출 양적 확대 및 수출 시장․품목 다변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관련하여, 무역보험 지원으로 ‘18.10월 신흥시장 6개국에 대한 인수실적이 +23.6% 증가한 5,677억원, 유망 소비재에 대한 인수실적이 +231.3% 증가한 5,383억원에 이르는 등 수출기업의 활용도가 컸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13대 주력품목 수출비중이 ‘17년 대비 하락(’17년 78.2% → ‘18.1∼10월 77.7%)하여 13대 주력품목에 대한 집중도가 완화되고 있다. 해당 품목으로는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석유제품, 자동차, 철강, 디스플레이, 차부품, 선박, 무선통신기기, 섬유, 컴퓨터, 가전제품 등 이다.
 

특히, 1∼10월 누계기준, 신산업* 수출증가율('18.1∼10월 +12.0%)이 총 수출증가율(+6.4%)을 약 2배 가까이 상회하고 8개 세부품목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해당 품목으로는 차세대반도체, 차세대DP,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항공우주, 첨단신소재, 전기차, 로봇 드이며, 신산업 주요품목 수출증감률(’18.1∼10월, %) : (전기차)80.1, (첨단신소재)21.8, (바이오헬스)19.0, (차세대반도체)11.4, (로봇)9.9 등 이다.

화장품(‘18.1∼10월 +32.6%)․의약품(+23.4%) 등 유망 소비재 주요품목 수출도 두 자릿수 증가하여 품목 다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해당 품목으로는 유망 소비재 주요품목 수출액(’18.1∼10월, 억 달러) : (화장품)52.8, (의약품)30.0 등이 있다.

또한, MCP(복합구조칩 직접회로)․SSD(차세대 저장장치) 등 주력품목 내 고부가 품목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18.1∼10월 MCP+13.5%, SSD+33.6%)하여 수출품목 고부가가치화가 확대되고 있다. 해당 품목을 살펴보면 고부가 품목 수출액(’18.1∼10월, 억 달러) : (MCP)199.5, (SSD)64.3 등이다.

한편, 반도체('18.1∼10월 +36.2%)를 대표로 일반기계(+12.6%)․석유화학(+15.0%)이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하는 등 13대 주력품목도 수출 성장을 든든하게 뒷받침 하고 있다. 해당 품목으로는 주요품목 수출액(’18.1∼10월, 억 달러) : (반도체)1,072, (일반기계)444, (석유화학)422 등을 들 수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10월 누계기준, 10대 주요지역* 중 9개 지역(중동 제외) 수출이 모두 증가하여 지역별 고른 수출 성장세가 시현되고 있다. 해당 지역으로는 중국, 아세안, 미국, EU, 베트남, 일본, 중남미, 중동, 인도, CIS이고 주요지역 수출증감률(%) : (중국)19.6, (일본)16.3, (CIS)13.2, (아세안)4.7 등이다.

아세안('18.1∼10월, +4.7%)․베트남(+1.9%)․인도(+2.5%) 등의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이 경신되어 전체 수출 성장을 견인하였다. 주요지역 수출액(’18.1∼10월, 억 달러) : (아세안)823, (베트남)400, (인도)131 순이다.
또한, 주요 FTA 발효국의 수출증가율('18.1∼10월 10.3%)이 총 수출증가율(6.4%)을 상회하는 등 對 FTA 발효국 수출이 활성화 중이다. 주요 FTA 발효국(발효연도)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교역비중 5% 이상 국가(지역)인 중국(’15), 아세안(’07), 미국(’12), EU(’11), 베트남(’15) 순이다.

특히, 주요 FTA 발효국에 대한 1천불 이상 수출 품목수가 각 지역별 FTA 발효 직전연도 대비 최근 상승 추세임에 따라 품목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주요 FTA 발효국 1천불 이상 품목수 현황(발효직전연도→’17년, 개)을 살펴보면 (중국)6,445→6,477(0.5%↑), (아세안)5,682→7,403(27.8%↑), (미국)5,125→5,754(12.3%↑), (EU)4,800→5,182(8.0%↑), (베트남)5,082→5,823(14.6%↑) 등이다.

아세안․미국 등 주요국 수입시장 내 한국 점유율도 FTA 발효 이후 대체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주요 FTA 발효국 수입시장 점유율(발효직전연도→가용한최신통계기준시점,%)을 보면 [아세안]4.4→(’17)7.9, [미국]2.6→(’18.1∼7)2.9, [중국]9.7→(’18.1∼3)9.8 등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